윤석열정권, 시국선언 동참 대학교 리스트(24년 11월 30일 현재)
가천대학교가 10월 28일 시작하여, 한국외대, 숙명여대, 한양대, 인천대, 전남대, 충남대, 아주대, 원광대, 목포대, 가톨릭대에 이어 부울경 27개 대학교(가야대, 경남대, 경상국립대, 경성대, 고신대, 부경대, 동명대, 동서대, 동아대, 동의대, 마산대, 부산카톨릭대, 부산과학기술대, 부산교대, 부산대, 부산외대, 부산장신대, 신라대, 영산대, 울산과학대, 울산대, 인제대, 진주교대, 창원대, 창원문성대, 한국국제대, 한국해양대) , 공주대학교, 제주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경희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전주교대, 남서울대, 국민대학교, 강원대학교, 강릉원주대, 관동대학교, 경동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대, 대구대학교, 안동대학교, 경북대학교, 중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동국대학교, 상지대학교, 한신대학교, 조선대학교, 연세대미래캠퍼스, 연세대학교, 성신여대 등이 시국선언에 합류했고, 광주 전남 대학 교수 및 연구자,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대구경북교수연구자연대, 충북대학교, 광주전남지역 대학, 방송통신대학교, 국내대학 모임 76개 대학교와 해외대학교(튀빙겐대)가 처음으로 참여하였고, 11월 28일에는 윤석열의 모교인 서울대학교도 최대인원으로 가세했고, 이어 단국대학교와 충청권 33개 사립대학교도 합류하였다.
(11월 30일까지 최소 131개 대학, 5623명이 참여, 뉴스 실명 기준, 인원수 미발표 제외)
******다만, 오마이뉴스는 11월 22일까지 102개 4786명 참여라고 발표(↓)하였고, 경향신문은 11월 28일까지 최소 94개 대학, 5300명이라고 소개하였고, 본인 또한 131개 대학 5623명이라고 집계하였으나, 비실명과 대학명이 기재가 안된 경우와 인원수가 표시안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 11월 30일까지 150개 이상의 대학교, 6000명 이상의 참여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마이뉴스 기사)
https://v.daum.net/v/20241122164201837
(경향신문 기사)
https://v.daum.net/v/20241128210117192
아래는 본인이 집계한 시국선언 대학교와 대학 리스트이다. (신문기사 위주로 채집)
시국선언 대학교 교수 및 연구자 현황(24년 11월 29일 기준)
대학수 | 대학교 | 1차 | 2차 | 비고 | ||
선언일 | 교수연구자수 | 선언일 | 교수연구자수 | |||
1 | 가천대학교 | 10월 28일 | 인원수 미발표 | |||
2 | 한국외대 | 10월 31일 | 73명 | 11월 25일 | 3명 | |
3 | 숙명여대 | 11월 05일 | 57명 | 11월 25일 | 9명 | |
4 | 한양대학교 | 11월 05일 | 51명 | 11월 25일 | 3명 | |
5 | 인천대학교 | 11월 06일 | 44명 | |||
6 | 전남대학교 | 11월 06일 | 107명 | 11월 14일 | 17명 | 2차와 3차 통합 |
7 | 충남대학교 | 11월 07일 | 80명 | 11월 25일 | 4명 | |
8 | 아주대학교 | 11월 11일 | 42명 | 11월 25일 | 2명 | |
9 | 목포대학교 | 11월 11일 | 83명 | 11월 25일 | 10명 | |
10 | 가톨릭대학 | 11월 11일 | 106명 | 11월 25일 | 11명 | |
652명 | 부울경대학 통합 | |||||
11 | 가야대학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12 | 경남대학 | 11월 12일 | 11월 25일 | 1명 | 1차 부울경통합 | |
13 | 경상국립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3명 | 1차 부울경통합 | |
14 | 경성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15 | 고신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16 | 부경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1명 | 1차 부울경통합 | |
17 | 동명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18 | 동서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19 | 동아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0 | 동의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1 | 마산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2 | 부산카돌릭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3 | 부산과학기술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4 | 부산교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5 | 부산교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1명 | 1차 부울경통합 | |
26 | 부산외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7 | 부산장신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8 | 신라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29 | 영산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0 | 울산과학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1 | 울산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7명 | 1차 부울경통합 | |
32 | 인제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2명 | 1차 부울경통합 | |
33 | 인주교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4 | 창원대 | 11월 12일 | 11월 25일 | 1명 | 1차 부울경통합 | |
35 | 창원문성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6 | 한국국제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7 | 한국해양대 | 11월 12일 | 1차 부울경통합 | |||
38 | 공주대학교 | 11월 13일 | 49명 | 11월 25일 | 2명 | |
39 | 남서울대 | 11월 13일 | 24명 | 11월 29일 | 5명 | |
40 | 제주대학교 | 11월 13일 | 75명 | 11월 25일 | 3명 | |
41 | 경희대 | 11월 13일 | 226명 | 11월 25일 | 7명 | |
42 | 경희사이버대 | 11월 13일 | 경희대에 통합 | |||
43 | 전북대 | 11월 13일 | 125명 | 11월 25일 | 3명 | |
44 | 원광대 | 11월 13일 | ||||
45 | 전주교대 | 11월 13일 | ||||
46 | 국민대 | 11월 14일 | 61명 | |||
47 | 고려대 | 11월 14일 | 152명 | 11월 25일 | 6명 | |
48 | 강원대학교 | 11월 15일 | 191명 | 11월 25일 | 10명 | 7개 대학통합 |
49 | 강릉원주대 | 11월 15일 | 11월 25일 | 4명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0 | 연세대미래캠퍼스 | 11월 15일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1 | 상지대 | 11월 15일 | 11월 25일 | 3명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2 | 한라대 | 11월 15일 | 11월 25일 | 1명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3 | 가톨릭관동대 | 11월 15일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4 | 경동대 | 11월 15일 | 1차 강원대에 통합 | |||
55 | 대구대 | 11월 15일 | 50명 | 11월 25일 | 1명 | |
56 | 안동대 | 11월 18일 | 33명 | |||
57 | 경북대 | 11월 19일 | 179명 | 11월 25일 | 7명 | |
58 | 전주대 | 11월 19일 | 104명 | |||
59 | 중앙대 | 11월 20일 | 169명 | 11월 25일 | 6명 | |
60 | 성공회대 | 11월 21일 | 141명 | 11월 25일 | 21명 | |
61 | 동국대 | 11월 21일 | 108명 | 11월 25일 | 5명 | |
62 | 이화여대 | 11월 21일 | 140명 | 11월 25일 | 1명 | |
63 | 연세대 | 11월 21일 | 177명 | 11월 25일 | 2명 | |
64 | 한신대 | 11월 21일 | 58명 | 11월 25일 | 1명 | |
65 | 조선대 | 11월 21일 | 196명 | 11월 25일 | 3명 | |
66 | 튀빙겐대 | 11월 25일 | 1명 | |||
67 | 서울대 | 11월 25일 | 11월 28일 통합 | |||
68 | 건국대 | 11월 25일 | 4명 | |||
69 | 건양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7명 | |
70 | 경기대 | 11월 25일 | 1명 | |||
71 | 계명대 | 11월 25일 | 2명 | |||
72 | 광주대 | 11월 25일 | 1명 | |||
73 | 국민대 | 11월 25일 | 1명 | |||
74 | 대구가톨릭대 | 11월 25일 | 3명 | |||
75 | 대구보건대 | 11월 25일 | 1명 | |||
76 | 대덕대 | 11월 25일 | 2명 | 11월 29일 | 1명 | |
77 | 대림대 | 11월 25일 | 1명 | |||
78 | 대전대 | 11월 25일 | 3명 | 11월 29일 | 6명 | |
79 | 대전보건대 | 11월 25일 | 2명 | |||
80 | 목원대 | 11월 25일 | 7명 | 11월 29일 | 47명 | |
81 | 배재대 | 11월 25일 | 2명 | 11월 29일 | 6명 | |
82 | 서강대 | 11월 25일 | 2명 | |||
83 | 서울과기대 | 11월 25일 | 1명 | |||
84 | 서울시립대 | 11월 25일 | 1명 | |||
85 | 선문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3명 | |
86 | 성균관대 | 11월 25일 | 9명 | |||
87 | 세명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4명 | |
88 | 순천향대 | 11월 25일 | 2명 | 11월 29일 | 11명 | |
89 | 안산대 | 11월 25일 | 3명 | |||
90 | 영남대 | 11월 25일 | 5명 | |||
91 | 인하대 | 11월 25일 | 1명 | |||
92 | 장안대 | 11월 25일 | 1명 | |||
93 | 충북보건과학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1명 | |
94 | 평택대 | 11월 25일 | 2명 | |||
95 | 포항공대 | 11월 25일 | 1명 | |||
96 | 한국교원대 | 11월 25일 | 2명 | |||
97 | 한국영상대 | 11월 25일 | 1명 | |||
98 | 한예종 | 11월 25일 | 16명 | |||
99 | 한국체대 | 11월 25일 | 1명 | |||
100 | 한남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25명 | |
101 | 한동대 | 11월 25일 | 1명 | |||
102 | 한성대 | 11월 25일 | 9명 | |||
103 | 한양여대 | 11월 25일 | 1명 | |||
104 | 한일장신대 | 11월 25일 | 1명 | |||
105 | 호서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9일 | 21명 | |
106 | 홍익대 | 11월 25일 | 1명 | |||
107 | 성신여대 | 11월 25일 | 3명 | 11월 26일 | 52명 | |
108 | 방송통신대 | 11월 25일 | 1명 | 11월 26일 | 23명 | |
109 | 충북대 | 11월 26일 | 91명 | |||
대구경북권 | 11월 26일 | 396명 | 구체적명단없음 | |||
광주전남전북지부 | 11월 26일 | 292명 | 구체적명단없음 | |||
서울대학교 | 11월 28일 | 525명 | 11월 25일 | 20명 | 67번 | |
110 | 덕성여대 | 11월 28일 | 40명 | |||
111 | 단국대학교 | 11월 29일 | 135명 | 11월 29일 | 23명 | 캠퍼스 포함 |
112 | 상명대 | 11월 29일 | 11명 | |||
113 | 유원대 | 11월 29일 | 8명 | |||
114 | 한국기술교육대 | 11월 29일 | 7명 | |||
115 | 청운대 | 11월 29일 | 7명 | |||
116 | 나사렛대 | 11월 29일 | 6명 | |||
117 | 청주대 | 11월 29일 | 4명 | |||
118 | 대원대 | 11월 29일 | 4명 | |||
119 | 중부대 | 11월 29일 | 4명 | |||
120 | 고려대세종 | 11월 29일 | 3명 | |||
121 | 극동대 | 11월 29일 | 3명 | |||
122 | 카톨릭꽃동네대 | 11월 29일 | 3명 | |||
123 | 중원대 | 11월 29일 | 3명 | |||
124 | 우석대 | 11월 29일 | 2명 | |||
125 | 우송대 | 11월 29일 | 2명 | |||
126 | 우송정보대 | 11월 29일 | 2명 | |||
127 | 대전과학기술대 | 11월 29일 | 2명 | |||
128 | 금강대 | 11월 29일 | 1명 | |||
129 | 강동대 | 11월 29일 | 1명 | |||
130 | 아주자동차대 | 11월 29일 | 1명 | |||
131 | 연암대 | 11월 29일 | 1명 | |||
1차참여자수 | 5,207명 | 2차참여자수 | 416명 | |||
최종 합계(참여자수) | 5,623명 |
이는 박근혜때(2016년 10월) 1주일 만에 100여 개가 시국선언을 발표한 것보다 느린 속도이긴 하다.
하지만, 박근혜때는 임기 4년을 앞둔 시점이었고, 윤석열 대통령은 임기 2년 반을 갓 넘긴 상황이라, 보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2025.01.08 - [정치] - 탄핵찬성, 탄핵반대 입장표명한 연예인 모음
이 외에도
24년 7월 18일 그리스도인 모임(1004명)을 시작으로 시민사회원로(1500여 명), 인천교육청 장학사(이광국 1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및 여러 교회, 한국작가회의(1056명), 한국충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 연맹, 경기정의평화기독교행동 목사, 전남광주 5개 노회(100여 명), 시민사회각계 단체(1500명), 대구경북지역 123개 단체(203명), 대전 지역 시민단체(262명), 강원도내 79개 시민단체, 옥현진 대주교 등 천주교 사제(1466명), 의혈중앙대 민주동문회, 이내창기념사업회 등 중앙대 동문(1000명) 등으로 시국선언이 이어졌다.
12월 7일에는 헌법, 행정학 학자(131명)도 시국선언을 하였다.
아울러,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경북대학교, 창원대학교, 경상 국립대학교 등 11월 22일까지 약 98개 대학이 대자보 등으로 대학생들도 동참하고 있다.
시국선언 대학 리스트 및 관련 기사 모음
10월 28일, 가천대학교 교수노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11052036025
“윤 대통령은 즉각 퇴진하라”…줄잇는 대학교수들 시국선언
한양대학교 교수들이 5일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촉구했다.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들도 이날 시국선언을 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등 논란이
www.khan.co.kr
10월 31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73명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65216.html
외대 교수들 ‘김건희 특검’ 시국선언…“사법체계 뒤흔들어” [전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들이 “윤석열 정부의 민주주의 훼손을 더는 용납할 수 없다”는 시국선언문을 냈다.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사법체계를 뒤흔들고 있다”며 김건희
www.hani.co.kr
11월 5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57명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65997.html
숙명여대 교수들도 “윤, 특검 수용 안 할 거면 하야하라” 시국선언 [전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들이 5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특검 수용, 국민안전, 한반도 평화노력을 촉구하며 이 3가지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하야해야 한다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가천대·한국외국어
www.hani.co.kr
11월 5일, 한양대학교 교수 51명
https://www.ytn.co.kr/_ln/0103_202411051817117766
한양대 교수 51명 시국선언 "대통령 퇴진해야"
한양대학교 교수들은 오늘(5일)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며 시국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나라의 위기를 걱정하는 한양대 교수 일동이라고 밝힌 51명은 시국선언문에...
www.ytn.co.kr
11월 6일, 인천대학교 교수 44명(첫 국립대학교 선언)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653661_36515.html
인천대, 국립대 중 첫 시국선언‥전남대도 "대통령 탄핵한다"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이 대학가에서 잇따르는 가운데, 어제 숙명여대와 한양대에 이어 오늘은 인천대와 전남대에서 대통령의 즉각 하야를 요구하는 시국선언...
imnews.imbc.com
11월 6일, 전남대학교 교수 107명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411061556001
“대통령 윤석열을 탄핵한다”…전남대 교수 107명 ‘시국 선언’
100명이 넘는 국립 전남대학교 교수들이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 교수들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특별검사제 시행을 요구했다. 전남대교수 107명은 6일 ‘전남대학교 교수 시국 선언
www.khan.co.kr
11월 7일, 충남대학교 교수 80명
https://www.hani.co.kr/arti/area/chungcheong/1166390.html
충남대 교수들 시국선언 “무능·위험한 윤 대통령 하야하라”
충남대학교 교수들도 윤석열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충남대 교수 80명은 7일 시국선언문을 통해 “윤 대통령은 즉각 하야하라”며 “대통령 부인을 비롯해 국민이 선
www.hani.co.kr
11월 11일, 아주대학교 교수 42명
https://news.nate.com/view/20241111n29753
"윤, 사퇴 안 하면 국민이 파면"…아주대 교수들도 시국 선언 : 네이트 뉴스
한눈에 보는 오늘 : 종합 - 뉴스 :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전국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아주대학교 교수들도 11일 “민주주의 법치주의 훼손을 더이상 용납할 수 없
news.nate.com
11월 11일, 목포대학교 교수 및 연구진 83명
https://kjmbc.co.kr/NewsArticle/1432950
'윤석열 정권 퇴진 촉구' 목포대 교수 등 83명 시국선언
국립목포대학교의 교수와 연구진들이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하는시국선언에 나섰습니다.국립목포대 교수-연구진 일동 83명은 오늘(11) 시국선언문을 통해"윤석열 정권이 검찰 권력을 동원해
kjmbc.co.kr
11월 11일, 가톨릭대학교 교수 106명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41111050505
“윤석열 대통령 즉각 퇴진 요구” 가톨릭대에서도 시국선언
각 대학에서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가톨릭대학교에서도 “윤석열 대통령은 퇴진하라”며 100여명의 교수가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11일 가톨릭대학교 교수노조 등에 따르면, 이
news.heraldcorp.com
11월 12일, 부울경 교수 600명(부울경 지역 18개 대학, 5개 연구소)
https://v.daum.net/v/20241111180313938
"민주주의·법치 무너뜨렸다" 부울경 교수 600여명 14일 '시국선언'
(경남=뉴스1) 박민석 기자 = 경남과 부산·울산지역의 교수·연구자들이 오는 14일 부산시의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과 명태균씨 관련 여러 의혹과 관련해 시국선언을 발표한다. 11
v.daum.net
11월 13일, 공주대 교수 49명
https://v.daum.net/v/20241113174543120
충남대 이어 공주대 교수들도 "김건희 특검·윤 대통령 퇴진" 촉구 시국선언
충남대 교수들에 이어 공주대 교수들이 윤석열 대통령 하야와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공주대 교수 49명은 13일 시국선언을 통해 "1987년 민주항쟁 이후 40년 가까이
v.daum.net
11월 13일, 제주대 교수 75명
https://v.daum.net/v/20241113181352094
제주 대학교수 75명 시국선언…“김건희 특검 수용하라, 수용 못 하면 하야”
[헤럴드경제=안세연 기자] 전국에서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대학 교수들이 시국선언에 나섰다. ‘현 시국을 우려하는 제주지역대학 교수 75명 일동’은 13일 “윤석
v.daum.net
11월 13일, 경희대와 경희사이버대 교수 및 연구진 226명
https://v.daum.net/v/20241113110156920
경희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민주주의 훼손한 윤석열 퇴진"
경희대 교수들이 13일 시국선언문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했다. 교수들은 "윤 대통령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무관심하며 거짓으로 진실을 가리고, 무지와 무책임으로 돌진하
v.daum.net
11월 13일, 전북 소재 대학 교수와 대학 연구자 125명
https://v.daum.net/v/20241113120304612
전북 교수 125명 "더 이상 윤석열을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
전북 도내 교수와 대학 연구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습니다. 전북지역 교수와 연구자 125명은 오늘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대통령은 무능력과 무
v.daum.net
11월 14일, 국민대학교 교수 61명
https://v.daum.net/v/20241114104356399
국민대 교수 시국선언… “尹, 자질·능력 부족하면 스스로 물러나야”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국민대학교 교수들이 ‘시국선언문’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스스로 물러나라’고 요구했다. 교수들은 “국정 파탄의 책임은 누구에게도 미룰 수 없다”며
v.daum.net
11월 14일, 고려대학교 교수 152명
https://v.daum.net/v/20241114142504114
고려대 교수 152명 “윤석열-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하라” 시국선언
고려대학교 교수 152명이 윤석열 대통령은 퇴진하고 국정농단을 철저히 규명할 특검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고려대 교수들은 14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v.daum.net
11월 15일, 강원대학 교수 및 연구자 191명
https://v.daum.net/v/20241115142647850
강원 대학 교수·연구자 191명, 정권퇴진 시국선언
(강원=뉴스1) 한귀섭 기자 = 강원지역 대학교수와 연구자들이 시국선언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했다. 강원지역 대학교수와 연구자들은 15일 강원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v.daum.net
11월 15일, 대구대학교 교수와 연구자 50명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41118010002227
대구대·안동대·경북대…TK 대학교수들 잇따라 '시국선언' | 영남일보 | 노진실 기자 | 사회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수와 연구자 등의 시국선언이 하나, 둘 이어지고 있다.대구대 교수·연구자 50여 명이 대구경북권 대학 중 처음으로 시국선언문을 발표한 데 이어 안동대 교수들도 시..
www.yeongnam.com
11월 17일, 경희대학교 교수, 연구자 226명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67176.html
경희대 교수·연구자 226명 “윤석열 퇴진” 시국선언 [전문]
경희대학교와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연구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가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
www.hani.co.kr
11월 18일, 안동대학교 교수 33명
https://v.daum.net/v/20241118115237447
보수의 심장에서 터져 나온 시국선언…교수들 “윤 대통령 퇴진하라”
전국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구·경북지역 교수들도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윤 대통령의 퇴진 요구가 보수의 심장인 대구·경북까지 확산하는
v.daum.net
11월 19일, 경북대학교 교수 179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716880?sid=102
경북대 교수들 “윤석열, 끌어내릴 것이다”…179명 시국선언
경북대 교수·연구자 179명이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경북대학교 교수‧연구자’ 일동은 19일 낮 12시께 경북대 북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n.news.naver.com
11월 20일, 중앙대학교 교수 169명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34197?sid=100
"윤 대통령, 헌정질서 파괴" 중앙대 교수 169명 시국선언
중앙대 교수 169명이 "1987년 민주화 이후 어떤 정권에서도 볼 수 없었던 민주주의의 퇴행이 일어났다"며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헌정질서 파괴에 대해 사과하고, 임기
n.news.naver.com
11월 21일, 성공회대학교 전현직 교수 및 연구자 141명
https://v.daum.net/v/20241121103601541
"껍데기는 가라" 성공회대 전·현직 교수 연구자 141명 시국선언
[김성수 기자] ⓒ 성공회대학교지난 20일 성공회대학교 전·현직 교수 연구자 140명이 "껍데기는 가라"라는 제목으로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독선과 탐욕으로 가득찬 윤석열
v.daum.net
11월 21일, 동국대학교 교수 108명
https://v.daum.net/v/20241121103502504
동국대 교수 시국선언, “윤 대통령, 탄핵-하야 선택만 남았다”
동국대학교 교수들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동국대 교수 108명은 21일 ‘‘바꿀 것이 휴대폰밖에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즉각 물러나라”라는 제목의 시국선
v.daum.net
11월 21일, 이화여대학교 교수 연구자 140명
https://v.daum.net/v/20241122101717011
“尹 즉각 퇴진해야”...이화여대 교수들도 시국선언 나섰다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대학 교수들의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연구자들도 시국선언 행렬에 동참했다. 이화여대 교수·연구
v.daum.net
11월 21일, 연세대학교 교수 177명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68475.html
“망할 것들, 권력 쥐었다고 못된 짓만”…연세대 교수 시국선언 [전문]
전국 곳곳에서 윤석열 정부를 비판하는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연세대 교수 177명도 시국선언문을 내고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연세대 교수 177명은 21일 ‘당
www.hani.co.kr
11월 25일,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교수연구자협의회(서울대 20명, 튀빙겐대 포함), 273명
https://v.daum.net/v/20241126121200318
교수·연구자 대거 시국선언, 서울대·해외대학 첫 포함
[박수림 기자] ▲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정문(자료사진).ⓒ 소중한윤석열 대통령의 모교인 서울대와 해외대학을 포함한 전국 교수·연구자 273명이 대통령 사퇴 요구를 담은 공동 시국선언을
v.daum.net
11월 26일, 성신여대학교 학생 및 동문 52명
https://v.daum.net/v/20241126103255425
구호 외치는 시국선언 참석자들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26일 오전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정문 앞에서 열린 성신여자대학교 학생·동문 시국선언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11.26 mon@yna.co.kr (끝
v.daum.net
11월 26일, 방송통신대학교 교수 23명
https://v.daum.net/v/20241126143013345
방송통신대 교수들 "尹, 특검 수용함과 동시에 즉시 퇴진하라"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방송통신대학교(방통대) 교수 23명도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다. 방통대 교수 23명은
v.daum.net
11월 26일, 대구·경북권 교수, 변호사 등 지식인 396명
https://v.daum.net/v/20241126164144166
‘보수 텃밭’ TK 지식인들, 尹퇴진 촉구…“일말의 기대도 없다”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대구·경북권 교수, 변호사 등 지식인 396명이 시국선언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대구경북교수연구자 연대회의, 대구경
v.daum.net
11월 26일, 충북대학교 교수와 연구자 91명
https://v.daum.net/v/20241126164545338
충북대 교수·연구자 91명 "채상병 특검 즉각 수용하라" 시국선언
(청주=뉴스1) 박건영 기자 = 충북대학교 교수와 연구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비판하는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충북대학교 교수·연구자 91명은 26일 시국 선언문을 통해 "윤석열 정권
v.daum.net
11월 26일, 광주 전남 지역 교수와 연구자 292명
https://v.daum.net/v/20241127091322405
광주·전남 교수·연구자, 정권 퇴진 시국선언
[KBS 광주]광주, 전남 지역 대학교수와 연구자 292명이 윤석열 정부 퇴진을 위한 시국선언에 동참했습니다. 광주전남 교수·연구자 연합은 어제(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년 반 동안 윤석열 정
v.daum.net
11월 28일, 서울대학교 교수와 연구자 525명
https://v.daum.net/v/20241128155400966
'尹 모교' 서울대 교수·연구자 525명 시국선언…"尹정부 퇴진 촉구"
전국 대학 곳곳에서 윤석열 정부를 규탄하는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학교 교수·연구자 525명도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
v.daum.net
11월 28일, 덕성여대 교수와 연구자 40명
https://v.daum.net/v/20241128171528524
시국선언 한 달···전국 교수 5300명이 ‘정권 퇴진’ 외쳤다
전국 대학가에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다. 28일 서울대 교수들이 시국선언에 나서면서 전국 각지에서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수·연구자가 5300명을 넘겼
v.daum.net
11월 29일, 단국대학교 교수 135명
https://v.daum.net/v/20241129151849285
‘尹 퇴진’ 시국선언 확산일로…단국대 교수들 “막장극 주인공”
(시사저널=박선우 객원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대학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이어지는 가운데 단국대학교 교수들도 시국선언 대열에 합류했다. 단국대 죽전·천안캠퍼스 소속 교수
v.daum.net
11월 29일, 대전/충청권 33개 사립대 교수 235명
https://v.daum.net/v/20241129152403464
[대전·충청 사립대 교수 시국선언] "더 이상 힘들게 말고 즉각 퇴진"
[오마이뉴스 기자] *전국 시국선언·대자보 https://omn.kr/2b39w <윤석열 대통령은 우리 사회를 더 이상 힘들게 하지 말고 즉각 퇴진하라!> 대통령은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하
v.daum.net
12월 7일, 헌법, 행정법 학자들 131명 시국선언
https://v.daum.net/v/20241207112917811
헌법·행정법 학자들도 시국선언... "명백한 위헌, 탄핵 소추로 돌발행동 막아야"
헌법·행정법 학자 131명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표결을 앞두고 탄핵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다. 법학자들은 7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를 촉구하는 헌법·행정법 연구
v.daum.net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준석의 폭로, 윤석열의 공천개입한 인물들 (8) | 2024.11.15 |
---|---|
윤대통령, 골프장 거짓말, 골프 횟수와 시기, 문제점 (5) | 2024.11.14 |
한창민 의원, 경찰의 과잉진압 폭로 (10) | 2024.11.11 |
트럼프 재당선, 북한과의 관계는? 김정은 다시 만날까? (7) | 2024.11.10 |
윤석열 대국민담화 간단 요약 (8) | 2024.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