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71

조국, 입시비리 혐의 대법원 2년 확정 조국 판결, 입시비리 혐의 대법원 2년 확정, 의원직 상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의 자녀 입시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 대법원 선고 12일 오전 11시45분1·2심에서 선고받은 징역 2년이 대법원에서 그대로 확정(주심 엄상필 대법관, 대법원 3부)**엄상필 판사는 정경심 항소심 4년 선고한 판사 ===> 즉시 구속되고, 의원직 상실5년간 피선거권 제한, 당원자격 상실 및 당대표직 사퇴, 국회 재적인원 299명으로 감소, 김선민 수석최고위원이 당대표 권한대행 수행 **의원직 승계절차1. 대법원의 판결물, 국회 제출2. 국회의 중앙선관위 궐원 통보3. 선관위의 승계자 확인 및 결정4. 백선희 교수(비례 13번)가 승계 예정5. 통지일로부터 백선희가 잔여임기 수행 2023.02.06 - [정치] - 조.. 2024. 12. 12.
탄핵가결후 헌재의 심판절차 탄핵가결 후 헌재의 탄핵심판 절차와 탄핵 가능성은? 24년 12월 14일, 탄핵가결 후, 헌법재판소는 180일이내(25년 4월 12일) 탄핵결정된다. 다만, 현재 재판관인 6명의 헌법재판관이 모두 찬성해야 하고, 정원인 9명이 아닌 상황이라서, 이에 대한 법리적 결격사유에 해당할 수 있어 12월 중에 3명을 추가하여 탄핵심리를 할 가능성이 높다.현재 6명의 헌법재판관1. 진보 성향 : 문형배, 이미선, 2. 중도 성향 : 정형식, 김복형, 김형두, 정정미3. 보수 성향 : 정형식추가되는 3명의 재판관 1. 민주당 추천 재판관 : 정계선, 마은혁- 정계선 : 강원 양양 출신, MB징역 선고 등의 경력, 진보 성향 판사모임인 '국제인권법연구회' 간사- 마은혁 : 강원 고성 출신, '우리법 연구회' 소속2.. 2024. 12. 12.
윤석열 탄핵 변호인단 (사진, 프로필) 윤석열 변호인단, 윤석열 탄핵 변론 변호인단, 탄핵변호대리인단윤석열의 탄핵 변론 변호사, 윤대통령 탄핵 변호인단(총 19명)1. 대표 :  김홍일 전 방송통신위원장 : 15기, 윤석열캠프 정치공작진상규명특별위원장, 국민권익위원장, 방통위원장 역임, 이명박 BBK 주가조작사건 불기소 처분2. 그 외의 변호인단 (▶ 25년 1월 17일 최종 합류)1) 윤갑근 : 19기, 공보, 유우성간첩조작사건 두둔, 검찰 내 대표적 '강력특수통'2) 배보윤 : 20기, 헌법연구관 출신, 박근혜 파면결정 부인3) 조대현 : 연수원 7기, 전 헌법재판관, 노무현 탄핵심판 대리인단, 복음법률가회 공동대표(보수기독교 법조인 단체)4) 정상명 : 연수원 7기, 전 검찰총장, 윤석열의 멘토, 김건희와의 결혼 주례, 검사시절 사직 만.. 2024. 12. 12.
윤석열 체포될까? 구속될까? 윤석열 체포...어떤 게 더 좋을까?현직 대통령은 재직 중 형사 소추를 받지 않지만, 내란과 외환의 죄는 예외다. 법무부는 12월 9일 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해 신청한 출국금지를 받아들였다. (헌정 사상 처음)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12월 10일 밤 구속하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공모해 국헌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고, 김용현은 '내란 중요임무 종사자'혐의 적용’ →윤석열은 자동으로 형법의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 적용 구속 이후의 권한대행헌법 제71조는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국무총리 등이 권한을 대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한덕수 총리 역시 내란 혐의로 고발을 당한 피의자라 국정은 안정되기 어렵고, 현행법상 대통령은 무.. 2024. 12. 11.
<24년 12월 여론조사> 윤대통령 지지율 및 정당 지지율 등 윤대통령 지지율 및 정당 지지율 등2025.01.06 - [정치] - 윤대통령 지지율 및 정당 지지율 등▣ 여론조사 꽃(12월 6~7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14명(CATI와 ARS),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 ±3.1%)1.  윤 대통령 국정운영평가 : 부정 85.4%, 긍정 13.8%(CATI)1) 지역별(긍정 vs 부정) :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우세. 대구·경북(27.2% vs 72.0%) 2) 연령별(긍정 vs  부정) : 모든 연령층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았다. 70세 이상(34.6%  vs 64.8%)에서도 부정평가가 확연히 높았다. 18~29세(92.4%), 30대(92.1%), 40대(97.4%)까지는 부정평가가 90%를 넘겼으며 50대 부정평.. 2024. 12. 9.
탄핵과 하야 차이, 대선까지의 기간 탄핵과 하야의 차이, 윤석열의 운명 하야(스스로 결단)1. 절차 : 사퇴(하야) 시점~60일 안에 대통령 선거2. 기간 : 대통령선거까지 최대 60일(가장 빠른 벙법)3. 한계 : 윤석열이 거부할 가능성이 높음.4. 이전 사례 :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 탄핵(대통령 의사무관하게 국회가 법적 절차에 따라 진행)1. 절차 : 국회의 탄핵소추(과반수 동의발의, 재적의원 2/3 찬성=200명) → 헌법재판소(6명 전원찬성, 180일 이내 결정, cf. 박근혜 때는 선고까지 92일) →헌재결정 후  60일 이내 대선2. 기간 : 최대 8개월3. 권한 : 대통령 권한 즉각 정지,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 대행(이또한 한총리가 수사대상자이기에 논의가 필요할 듯) 질서있는 퇴진(대통령이 결단)1. 절차 : 거국내각구성.. 2024. 12. 9.
반응형